경남여행 119

하동 가볼만한 곳 - 하동군 하동읍성

가을이 내려앉은 역사의 현장, 하동읍성 가을이 농익어갑니다. 나뭇잎 사이로 번져오는 형형색색의 빛이 유혹하는 요즘입니다. 어디로 떠나도 좋을 때지만 가을이 내려앉은 고즈넉한 역사의 현장, 하동읍성을 찾았습니다. 하동 고전면은 한적합니다. 덕분에 고스란히 가을 풍경을 차를 타고도 넉넉하게 온몸으로 안을 수 있습니다. 주교천을 건너 주성마을 삼거리에 멈췄습니다. 삼거리에는 배다리공원이 있습니다. 배가 닿는 곳이라 붙여진 이름입니다. 배가 섬진강에서 거슬러 주교천까지 들고났다고 합니다. 삼거리에서 하동읍성으로 가는 길목에 이르면 큼직한 표지석이 먼저 눈길을 끕니다. 표지석 옆으로 이순신 장군 백의종군로를 안내하는 표지석이 이어 있습니다. 뒤로 고전면민 독립 만세운동 기념비가 서 있습니다. 역사가 켜켜이 쌓여 ..

경남이야기 2021.02.23

통영 가볼만한 곳 - 통영 삼도수군통제영

바로 지금 떠나도 좋을 통영 삼도수군통제영 해가 바뀌었습니다. 잠시 삶의 무게를 모두 내려놓고 어디론가 걷고 싶어졌습니다. 바로 지금 떠나도 좋을 통영 삼도수군통제영으로 향했습니다.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걸음을 옮기자 먼저 문화동 벅수가 환하게 웃으며 반깁니다. 문화동 벅수는 둘레 155㎝, 높이 201㎝입니다. 얼굴이 몸통의 절반을 차지하고 세 가닥의 수염이 비스듬하게 움푹 패어 있고 송곳니가 아래로 길게 나와 있습니다. 의장대를 사열하듯 펄럭이는 깃발을 지납니다. 통제사 이하 하마비(統制使以下下馬碑)가 향하는 곳의 위엄을 드러냅니다. 매표소에서 표를 구매하고 뜨락으로 향했습니다. 햇살이 곱게 드리운 자리 한쪽에 가 보입니다. 통영의 다양한 문화재와 세병관을 중심으로 통영의 문화유산을 널리 알리고 야간..

경남이야기 2021.02.22

하동 가볼만한 곳 - 하동 섬진강습지공원

싸목싸목 거닐며 가을 정취 만끽하는 하동 섬진강 습지공원 바람이 뺨을 기분 좋게 어루만지며 지나는 가을입니다. 어디론가 떠나도 좋을 때 싸목싸목 거닐며 가을 정취를 만끽하고 싶어 하동 섬진강 습지공원을 찾았습니다. 하동읍과 고전면 경계에 있는 섬진강습지공원은 차를 세울 곳이 없습니다. 하동포구공원에 차를 세우고 약 2km가량 걸어가야 합니다. 그런 불편에도 섬진강 습지공원을 이 싱그러운 가을이면 더욱더 찾고 싶은 곳입니다. 하동포구공원에 차를 세우고 공원 끝자락에서 횡천교를 건넙니다. 이 길은 남피랑길이기도 합니다. 하동읍으로 들어가는 국도변이라 차들이 바람을 가르며 쌩쌩 달립니다. 차가 다니는 길과 사람이 다니는 길이 확연히 구분되어 좋습니다. 횡천강이 섬진강과 만나는 위를 거니는 기분이 상쾌합니다. ..

경남이야기 2021.02.18

통영 가볼만한 곳 - 통영 남망산 조각공원

올 한 해 열심히 살아온 나 자신에 주는 선물 같은 통영 남망산조각공원 벌써 12월입니다. 올 한 해도 열심히 살아온 나 자신에게 달곰한 휴식을 선물 주고 싶었습니다. 통영 남망산 조각공원을 찾았습니다. 하늘을 닮은 푸른 통영 바다가 보이는 남망산에 이르자 덩달아 몸과 마음도 푸르게 물듭니다. 통영시민회관에 차를 세우고 바다가 보이는 곳으로 걸음을 옮겼습니다. 일본군 종군위안부 피해자 기림비인 정의비 주위로 잊지 않겠다는 다짐을 새긴 다짐들이 노랗게 펄럭입니다. 정의비 뒤편으로 이 나옵니다. 하늘을 향해 뾰족하게 솟은 네 개의 스테인리스기둥이 눈길과 발길을 먼저 이끕니다. 입니다. 하늘과 바다, 대지, 인간을 수직으로 만나는 지점을 상정한 조각입니다. 스테인리스에 반영된 주위 풍경이 변화무쌍합니다. 조각..

경남이야기 2021.02.06

사천 가볼만한 곳 - 사천 매향비

미륵불을 기다리듯 코로나19 종식을 기원하다 - 사천매향비 코로나19로 모두 힘든 시간입니다. 겨울 문턱을 넘어서자 더욱더 기승을 부리는 코로나19 확산 소식에 갑갑하고 답답합니다. 사람들과 부대끼는 곳을 스스로 멀리하고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해야 할 요즘입니다. 고려와 조선 시대 민중의 간절한 바람의 흔적을 찾아 사천매향비를 찾았습니다. 사천매향비로 가는 길은 여럿 있습니다. 남해고속도로 축동나들목에서 빠져나와 곤명면 완사로 가는 길과 진주에서 하동 가다 완사에서 빠져 가는 길이 있습니다. 완사에서 찾아가면 진양호의 넉넉한 품을 만납니다. 느리고 깊게 다가오는 풍경이 차창을 열게 합니다. 또한, 바다로 흘러가는 물줄기와 동행합니다. 바다로 향했던 물줄기는 갯벌을 이루었습니다. 지금은 갯벌은 매립되어 논이..

경남이야기 2021.01.26

사천 가볼만한 곳 - 사천 통창공원

시간이 머물고 우리도 물드는 사천 통창공원 숨을 멎을 듯 가을빛이 내려앉은 요즘입니다. 어디로 떠나도 좋을 때입니다. 엉덩이가 들썩들썩. 사천 삼천포 도심 속에는 시간이 머물고 우리도 물드는 통창공원이 있습니다. 가을빛의 화려한 빛보다 잔잔한 농익은 가을 바다를 온전히 구경하며 맘껏 마음의 여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공원 입구에 이르자 한여름의 무더위를 식혀주었던 인공 폭포 분수대도 숨을 고르고 있습니다. 가을볕이 그 위로 쏟아져 내립니다. 입구에 있는 동서금동 고유지명 안내도가 먼저 눈길과 발길을 이끕니다. “해안일대를 매축하여 현 시가지를 이루기 전 당시에는 노산이 섬처럼 되어, 큰 돌로 징검다리를 놓고 다녔기에 사람들이 이 징검다리를 櫓(노)다리라 부르고, 경상도 특유의 사투리 변형으로 노타리라고 ..

경남이야기 2021.01.24

사천 가볼만한 곳 - 사천 진널전망대

무르익은 삼천포 가을 바다가 말 걸어오는 사천 진널전망대 농익어가는 가을, 푸르른 삼천포 바다가 말 걸어오는 곳이 있습니다. 삼천포항의 넉넉한 바다를 두 눈에 꾹꾹 눌러 담을 수 있는 사천 진널전망대를 찾았습니다. 삼천포 도심에서 남일대해수욕장으로 가다 신항만 쪽으로 방향을 틀었습니다. 남일대 경계에 진널방파제가 있습니다. 강태공들이 낚시 성지로 여기로 즐겨 찾는 곳입니다. 차량 통제의 팻말이 무색하게 그 앞으로 강태공들이 타고 온 차들이 즐비합니다. 차량들이 들어올 수 없는 도로를 따라 땅끝으로 향하면 진널 방파제가 나옵니다. 벌써 강태공들의 낚싯대들이 바다를 은빛으로 출렁이게 합니다. 방파제 가기 왼편으로 야트막한 언덕으로 올라가는 길이 나옵니다. 한달음에 진널전망대로 이끄는 길입니다. 계단을 올라가..

경남이야기 2021.01.22

진주 가볼만한 곳 - 진주 대곡 소공원

진주와 의령 경계에 서다 - 진주 대곡소공원 농익은 가을이 지나간다. 겨울 문턱으로 넘어가고 있다. 계절의 변화, 경계에 이른 셈이다. 문득 농익은 가버린 가을을 붙들고 싶었다. 코로나19로 거리 두기를 하면서 즐겁게 몸과 마음을 쉴 곳으 찾아 떠난 곳이 진주 대곡면 설매리 대곡소공원이다. 대곡소공원은 진주 대곡면과 의령 화정면 경계고개(지방도 1013호)에 있다. 지금은 굽이굽이 돌아가는 길 대신 합천으로 난 왕복 4차선 길을 이용해 빨리 갈 수 있는 길이 생겨 찾는 이가 드물다. 하지만 고갯길은 우리의 인생길을 닮았다. 오가는 길에 들어서면 차창을 얼른 내리게 한다. 창 너머로 밀려오는 맑은 기운이 일상의 묵은 내를 쫒는다. 덕분에 몸과 마음이 개운하다. 공원에 이르면 혼자 맘껏 즐길 수 있을 듯 한..

진주 속 진주 2021.01.21

진주 가볼만한 곳 - 진주 용호정원

따스한 손길을 잊지 않게 하는 진주 용호정원 날이 쌀쌀하다. 가을 문턱을 넘은 지 엊그제 같은 데 벌써 아침저녁으로 춥다. 코로나19로 잔뜩 움크러든 요즘, 겨울 추위는 더욱더 몸과 마음을 춥게 한다. 날이 추워질 무렵이면 생각나는 진주 명소가 있다. 명석면 용호정원이 그런 곳 중 하나다. 진주에서 산청으로 가는 국도변에 자리한 용호정원은 1922년 당시 거듭되는 재해로 많은 사람이 굶주리자 이를 안타깝게 여긴 박헌경(朴憲慶·1872~1937) 선생이 재산을 털어 만든 정원이다. 용호정원은 중국 쓰촨성(四川省) 동쪽에 있는 무산(巫山) 수봉(秀奉)을 본떠 만든 공원이다. 600여 평 규모의 원형 연못인 용호지(龍湖池)가 있고 연못 주위에는 고분을 연상하게 작은 산봉우리 12개가 있다. 연못을 팔 때 나온..

진주 속 진주 2021.01.20

사천 가볼만한 곳 - 사천 다솔사

이름만 떠올려도 설레는 사천 다솔사 이름만 떠올려도 설레는 곳이 있습니다. 사천 다솔사를 떠올리는 순간부터 은은하게 솔향이 밀려오는 기분입니다. 계절이 바뀔 때면 찾아가 몸과 마음을 정갈하게 하기 좋습니다. 다솔사 입구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나면 봉명산 등산로 안내도 먼저 눈길을 끕니다. 산자락을 등산하지 않아도 다솔사 경내를 들어서면 아름드리나무들이 눈길과 발길을 이끕니다. 아까시나무와 팽나무가 초입부터 다정하게 손잡은 듯 서서 반깁니다. 차가 다니는 길옆으로 나무 데크 산책로가 있습니다. 산책로를 따라 걸으면 숲속으로 성큼성큼 들어서는 느낌입니다. 겨울 문턱을 넘어서자 온 산과 들의 나무들은 민낯을 드러냅니다. 이곳은 오히려 더욱더 푸른 기상을 우리에게 쏟아냅니다. 나무 데크 산책로가 끝나자 갈림길이..

경남이야기 2021.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