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도심 속에서 가을 너머 가을을 보다 - 창원 습지공원 단풍의 절정도 막바지를 향해 내달리는 요즘입니다. 어쩌면 저 나뭇잎만 떨어지면 가을과 이별을 해야 할지 모릅니다. 겨울이 오기 전에 가을에게 마지막 인사를 하기 위해 창원 도심 속 환경수도공원과 습지공원, 젊은이의 광장을 찾았습니다. 창원 도심 속 습지공원에는 가을이 농익어.. 경남이야기 2018.12.12
잠시 나를 돌아볼 여유 찾아 창원 도심 속 불곡사를 거닐다 겨울 문턱을 넘어가면 공연히 마음은 바빠집니다. 이룬 것도 없는 듯한데 정리할 것은 많아집니다. 머릿속이 복잡해집니다. 한 번쯤은 생각을 정리해 처음의 시간으로 되돌아가고 싶을 때입니다. 아직은 다시 시작해도 늦지 않을 시간입니다. 잠시 올 한해를 돌아보기 위해 정리의 시간.. 경남이야기 2018.12.11
가을이 문득 보고 싶다면 창원 용지문화공원 동물들이 겨울잠을 자러 간다는 입동(7일)입니다. 우리의 가을도 이대로 끝나는 걸까요? 아닙니다. 이 가을의 끝을 잡고 놔주지 않겠다는 다부진 풍경이 함께하는 곳이 있습니다. 창원 도심 속 용지문화공원이 그곳입니다. 우리 곁에 있는 가을을 보내기 위해 당장 떠나야 합니다. 창원 용.. 경남이야기 2018.12.10
‘미스터 션샤인’처럼 불꽃같이 살다간 황시헌을 기리다 “조선은 왜란, 호란을 겪으면서도 여태껏 살아남았어요. 그때마다 나라를 구하겠다고 목숨을 내놓죠. 누가? 민초들이. 그들은 스스로를 의병이라고 부르죠. 임진년에 의병이었던 자의 자식들은 을미년에 의병이 되죠. 을미년의 의병이었던 자의 자식들은 지금 무엇을 하고 있을까?” 최.. 경남이야기 2018.11.08
하늘의 작은 별을 찾듯 가을 찾아 경남대학교를 거닐다 가을입니다. 햇볕 쨍쨍하던 하늘에는 쪽빛 물감이 뚝뚝 떨어질 듯 맑고 푸릅니다. 유난히 더웠던 지난여름에 대한 선물 같은 싱그러운 가을입니다. 가을도 훅 그냥 가버릴지 모릅니다. 멀리 가지 않아도 창원 도심 속에서 가을을 느끼며 걸을 수 있는 풍광이 함께하는 곳이 있습니다. 창.. 경남이야기 2018.11.06
시간 거슬러 올라가는 연어가 되는 시간 속으로 떠난 여행 -창원대학교박물관 창원대박물관 누구도 붙잡을 수 없는 게 시간입니다. 스리슬쩍 가버리는 시간은 벌써 올 한해 절반도 흘러갑니다. 또한, 시간이 흘러도 변하지 않은 것은 없습니다. 일부러 잡을 수 없지만, 물살을 거슬러 올라가는 연어처럼 시간을 거슬러 역사 속으로 떠나고 싶었습니다. 창원 도심 속.. 경남이야기 2018.09.06
삶에 지친 나를 위로하는 도심 속 쉼표- 경남도청 정원 유월입니다. 도시는 점차로 뜨겁게 달구어져 갑니다. 도시에서 바쁜 삶을 잠시 뒤로 하고 생각을 정리하기 좋은 곳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가까운 창원 도심에서도 있습니다. 경상남도 도청 정문 경상남도 수부 도시인 창원의 심장에 있는 경상남도청이 바로 그곳입니다. 정문으로 들어.. 경남이야기 2018.09.05
잊지 말아야 할 역사 가슴으로 배우는 곳 - 3 ·15의거탑 우리나라 민주주의 효시인 3 ·15의거를 기념하는 3 ·15의거탑(三一五義擧塔) 잊지 말아야 할 역사 가슴으로 배우는 곳으로 뜨거운 햇볕을 벗 삼아 걸었습니다. 무학초등학교 근처에 도착하자 민주주의 효시인 3 ·15의거를 기념하는 3 ·15의거탑(三一五義擧塔)은 보였습니다. 급하게 길.. 경남이야기 2018.09.04
일상이 때로는 힘겨울 때 고요한 위안을 느끼기 좋은 곳 – 경남에서 가장 오래된 성요셉성당 도심 속에서 잠시라도 번잡한 일상에서 벗어나고 싶었습니다. 진녹색으로 물든 뜨거운 여름, 온전히 나 자신을 되돌아볼 수 있는 곳, 성지여고 내 성요셉성당으로 떠났습니다. 창원시 완월동에 있는 성지여고 본관 석조건물은 1952년에 준공했다. 성지여고 운동장에 들어서자 예사롭지 않.. 경남이야기 2018.09.03
주위 풍광을 구경하며 운동하기 좋은 창원 경남대 화영운동장 에어컨 밑의 피서만을 꿈꾸게 하는 요즘입니다. 뜨거운 불볕더위에 몸은 축 처지고 입맛도 떨어지는 지금, 건강을 생각해야겠지요. 여름의 숨은 매력을 찾아 산책과 운동을 하며 즐길 곳을 찾아 떠났습니다. 멀리 갈 것도 없습니다. 경남대 화영운동장이 있는 북문으로 가는 길에는 벽화.. 경남이야기 2018.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