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가볼만한곳 28

고성 가볼만한 곳 - 고성 해지개해안둘레길

우리 부부의 달달한 데이트 장소, 고성 해지개둘레길고양이처럼 살금살금 다가온 봄을 우리 부부는 온전히 느끼고 싶었습니다. 덩달아 바다가 고팠습니다. 그래서 두말없이 떠난 곳이 경남 고성 해지개해안둘레길입니다. ‘거대한 호수 같은 바다 절경에 해지는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워 그립거나 사랑하는 사람이 절로 생각난다. “라는 의미로 붙여진 해지개 해안 둘레 길입니다. 해지개 해안 둘레길은 남포항에서 남산오토캠핑장, 해지개다리, 구선창까지 연결된 편도 1.4㎞ 구간입니다. 우리 부부는 남산오토캠핑장 근처에 차를 세웠습니다.차에서 내리자 비리고 짭조름한 냄새가 반갑게 속세에 찌든 우리를 씻듯 반깁니다. 오가는 바람이 시원하게 뺨을 어루만지고 지납니다.바닷가를 따라난 나무테크 길이 우리에게 어서 오라 이끕니다. 바다..

경남이야기 2025.04.26

고성 가볼만한 곳 - 고성 문수암과 보현암

싱숭생숭한 봄을 잠재우기 위해 떠난 고성 문수암과 보현암 봄으로 넘어가는 길목에 들어서면 어디로든 떠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생숭생숭한 봄날, 잠잠히 지내기 위해 가족 모두가 떠난 곳이 고성 문수암과 보현암입니다.진주에서 사천을 거쳐 고성으로 가다가 무이산이 보이면 덩달아 문수암과 보현암을 알리는 이정표가 들어옵니다. 무이산 품에 안기면 굽이굽이 올라가는 길이 힘들지 않습니다. 아래에서부터 걸어서, 산행하는 이도 있지만 우리 가족처럼 승용차에 몸을 싣고 올라올 수도 있습니다.문수암 주차장에 도착하면 푸른 고성바다를 품은 바람이 무이산의 맑은 기운과 함께 우리를 감쌉니다. 덕분에 묵은내는 절로 날아가 버립니다.굽이굽이 지나온 길 너머로 약사여래 불상이 보입니다. 덩달아 몸과 마음도 건강해지는 기분입니다.가..

경남이야기 2025.04.14

4명의 어진 선비를 찾아서-고성 갈천서원 봄철 제례

4명의 어진 선비를 찾아서-고성 갈천서원 봄철 제례 봄이되 봄이 아닌 듯 심란한 요즘입니다. 산청과 의성에서 일어난 산불 등으로 봄을 느끼기 어렵습니다. 어지러움 속에서도 어진 선비들의 지혜와 가르침을 떠올리며 고성 갈천서원(葛川書院)을 찾았습니다.  문정공 행촌 이암 선생과 문열공 도촌 이교 선생, 묵재 노필 선생, 관포 어득강 선생을 모신 갈천서원 봄철 제례는 매년 음력 3월과 9월 상정일(上丁日)에 올리고 있습니다. 제례 시각보다 일찍 들렀습니다. 시간이 넉넉한 덕분에 찬찬히 서원 주위를 둘러보았습니다. 서원으로 가려면 작은 개울을 지나야 합니다. 갈천교를 건넜습니다. 다리 하나 건넜을 뿐인데 괜스레 마음가짐이 다르게 느껴집니다.서원 앞에는 아름드리나무들이 우리를 반깁니다. 아름드리나무 아래에는 시..

경남이야기 2025.04.02

바람에 흩날리는 벚꽃은 아직 멀었지만-고성 벚꽃 십 리 길

고양이처럼 살금살금 다가왔습니다. 다가온 봄을 보러 고성 벚꽃 십 리 길로 3월 28일 길을 나섰습니다. 진해군항제처럼 사람 반 벚꽃 반이 아니라 오직 나만의 비밀정원 같은 덜 알려졌지만 벚꽃이 환영하는 고성 대가면 벚꽃 십 리 길로 봄을 보러 갔습니다.봄을 가는 길, 진주에서 대가면으로 곧장 가지 않았습니다. 봄 내음이 물씬 나는 고성의 들을 가로질러 산을 넘어갔습니다.봄 햇살이 쏟아집니다. 산에는 하얀 빙수 같은 목련들이 목을 길게 빼고 우리를 반겨줍니다.길가에 무리 지어 호위무사처럼 우리를 반기는 벚나무들은 쉽사리 하얗고 고운 자태를 드러내지 않습니다. 그러다 화암마을 앞에서 잠시 멈췄습니다. 효행비 옆으로 세우대(洗憂臺)가 나옵니다. 근심을 씻습니다. 잔잔한 호수에 일상 속 묵은 근심을 말갛게 씻..

경남이야기 2025.04.01

봄향 찾아 고성으로 떠난 길, 매향을 담다

봄이되 봄 아닌 양 꽃샘추위가 불과 얼마 전까지도 우리를 움츠러들게 합니다. 한낮의 기온이 20도로 올라가는 봄을 보러 고성으로 떠났습니다. 지인이 아직은 몇 송이 피지 않았다고 알려준 고성 연화산 옥천사입니다. 몇 송이 피지 않았다는 귀띔에도 옥천사로 향하는 차 안에서 설레는 우리 자신을 발견하기는 쉽습니다. 매화를 찾아, 봄을 찾아 떠난다지만 연화산 옥천사는 언제 찾아도 일상에 찌든 우리를 개운하게 해주기 때문입니다.진주에서 문산읍을 지나고 고개를 넘어 고성군 영오면에 이르자 들은 햇살이 곱게 드리워 차창을 스르륵 내리게 합니다. 봄 햇살과 봄바람을 곁으로 하고 개천면 사무소를 지나자, 옥천사로 가는 삼거리가 나옵니다. 영오천이라는 작은 개울이 흐르고 있습니다. 그냥 다리 하나를 건넜을 뿐인데 괜스레..

경남이야기 2025.03.24

고성 가볼만한 곳- 고성박물관

소가야? 성곽의 도시 고성! -고성박물관 역사는 앞선 사람들의 흔적을 담은 이야기입니다. 또한,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흔적 위에 켜켜이 쌓여갑니다. 이런 이야기를 담은 창고가 박물관입니다. 경상남도 18개 시군에는 저만의 이야기 창고가 있습니다. 이야기 창고를 돌아다니면 선조들의 삶을 엿보며 오늘날 우리의 모습을 거울처럼 비출 수 있습니다. 고성박물관으로 곧장 향하지 못했습니다. 먼저 야트막한 언덕 위에 봉긋 솟은 가야 시대 송학동 고분군들이 우리의 눈길과 발길을 이끌기 때문입니다. 가야 왕들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고분군을 걷습니다. 천년 넘은 시간을 거슬러 시간 여행을 하는 기분입니다. 고분군을 탑돌이 하듯 걷다가 바로 곁에 있는 박물관으로 향했습니다. 커다란 성곽을 보는 듯한 박물관으..

경남이야기 2024.07.04

고성 가볼만한 곳 - 고성탈박물관

손바닥만 한 탈로 하늘 대신 얼굴을 가린 - 고성탈박물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는 사람들을 우리는 비웃습니다. 하늘이 가려질 리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손바닥만 한 탈로 얼굴을 가리고 하늘을 가린 이들이 있습니다. 손바닥만 한 탈로 얼굴을 가리고 자유롭게 노닌 사람들의 이야기가 있는 고성 탈박물관을 찾았습니다. 고성읍에서 통영으로 가는 길가에서 해맑게 웃는 탈춤 추는 조형물을 따라 가면 탈박물관이 나옵니다. 박물관 앞에 차를 세우자, 건립비가 눈에 들어옵니다. ‘갈촌 이도열님이 1988년 11월 탈 전시관을 설립한 후 1996년 갈촌탈박물관으로 정식 등록하여 사립 전문박물관으로 운영하다 고성군에 탈 전시품 전부를 기증, 2005년 고성군에서 2005년 개관’해 현재에 이른다고 합니다. 박물관 입구 좌..

경남이야기 2024.06.30

박물관은 살아있다⑨ – 고성 공룡박물관

지구를 지배했던 공룡을 만나다 엉덩이가 들썩이는 요즘입니다. 어디를 가도 좋을 때입니다. 아이가 있다면 꼭 가봐야 할 박물관이 있습니다. 고성 공룡박물관입니다. 국내 최초로 공룡 발자국이 고성군에 발견되었습니다. 고성군 전역에서 발견된 5,000여 점의 공룡 발자국 화석이 가장 쉽게 공룡의 흔적을 만날 수 있게 합니다. 공룡의 매력에 빠져던 아이와 함께 한다면 옛 추억도 떠올리며 덩달아 공룡 박사가 될 수 있습니다. 국내 최초로 고성군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 주차장에 차를 세우자 시원한 바람이 와락 안깁니다. 한려수도의 가운데에 위치한 상족암공원 바닷가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뺨을 어루만지고 갑니다. 나무데크 산책로를 따라가다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올라가자 마치 인간 세계에서 공룡 세계로 가는 기분입니다. 에..

경남이야기 2021.12.15

고성 가볼만한 곳 - 고성 고인돌공원

손을 얹고 마음으로 느끼는 고성 고인돌공원 볕이 따뜻하고 바람은 달곰합니다. 어디론가 떠나기 좋은 날. 황금 보기를 돌 같이 여긴 최영 장군과 달리 돌보기를 황금처럼 여긴 선사 시대 사람들의 흔적을 찾아 고성 고인돌공원으로 길을 나섰습니다. 사천읍에서 고성읍으로 가는 국도에서 상리면 이정표를 따라 길을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면 면 소재지가 나옵니다. 한적한 상리면에서 상리연꽃공원으로 가는 길에 커다란 빗돌이 있습니다. 이라 적힌 빗돌을 따라 성큼 성큼 공원으로 들어갑니다. 공원은 크지 않습니다. 여느 동네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동네 공원과 다르지 않습니다. 다만 고인돌이 공원 곳곳에서 우리를 시간 여행으로 이끕니다. 지석묘(支石墓)는 청동기 시대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 또는 돌멘(Dolmen)이라고도 합..

경남이야기 2021.08.18

고성 가볼만한 곳 - 고성 송학동고분군

서정적 풍경 속을 거닐다 – 고성 송학동고분군 경남 고성군은 옛날과 오늘이 아무렇지도 않게 공존합니다. 언제 찾아도 좋은 고성읍 내 송학동고분군이 그렇습니다. 사적 제119호인 고분군은 고성여자중학교 뒤 일명 무학산(舞鶴山) 또는 무기산(舞妓山)이라 불리는 구릉을 중심으로 있습니다. 소가야(小伽耶) 또는 고자국(古自國)으로 불리던 정치체 지배자들의 무덤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분군 주차장에 차를 세우면 야트막한 언덕 위로 봉긋봉긋 솟은 고분들이 아늑하게 다가옵니다. 고분 속으로 거닐자 시간여행이라도 떠난 양 몸과 마음은 더욱더 상쾌해집니다. 연어가 물살을 거슬러 올라가듯 우리는 시간을 거슬러 갑니다. 비록 지배자들의 무덤이라지만 어디를 둘러봐도 아늑합니다. 일상 속 번뇌는 어느새 사라집니다. 육지 속의 ..

경남이야기 2021.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