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속 진주

명품 시계는 없어도 진주의 명품 둘레길은 걷는다

에나이야기꾼 해찬솔 2014. 4. 23. 06:30
728x90

 

강낭콩보다 더 푸른 남강이 휘돌아 가는 진주의 진산(鎭山)은 비봉산이다. 높이 138.5m인 비봉산은 고분처럼 왕들의 고분처럼 봉긋봉긋 부드럽다. 최근에 비봉산에서인 선학산(134.2m)에 이르는 길에 봉황의 날갯짓을 형상화한 ‘봉황교’가 만들어졌다. 비봉산 정상을 거쳐 선학산 정상까지 4.5㎞ 구간의 도심 등산로가 연결되어 진주를 순환하는 명품 둘레길이 탄생했다. 명품 시계는 없어도 진주의 명품 둘레길을 마다할 수 없어 쉬는 날 길을 나섰다.

 

진주 시내 갤러리아 백화점 앞 사거리에서 시내버스에서 내렸다. 갤러리아 백화점을 가로질러 맞은 편에 옛 진주 객사 자리에는 주상복합아파트가 자리하고 있다. 아파트 옆 한쪽에 있는 주춧돌이 객사 터임을 알려준다. 길 건너는 “중 상투와 처녀 불× 빼곤 다 있다”는 서부 경남 최대 상설시장인 중앙유등시장이 있다. 여기서 비봉산 자락은 10분 이내 거리다. 산 정상까지 30분이면 올라갈 수도 있고 걸음 빠른 사람은 올라갔다 내려오기도 한다. 다행히 햇살은 좋았다. 바람은 심어진 나무의 초록 잎을 살랑살랑 흔들거리며 지나갔다. 진주중학교와 진주고등학교를 지나자 삼거리에 정자나무가 서 있다. 정자나무는 수령 50년 정도의 느티나무다. 느티나무에 앉아 걸어온 길을 잠시 둘러보니 운동장에서 공을 차는 아이들의 신나는 재잘거리는 소리가 저만치 따라온다.

 

 

 

 

의곡사에는 ‘父母生天目連經 南無阿彌陀佛 塔(부모생천목연경 나무아미타불 탑)’이란 한자(漢字)와 ‘부묘쳔목연경’이란 한글이 함께 새겨진 작은 비석이 정겹게 서 있다.

 

삼거리 서편으로 비봉산이고 동편으로는 선학산 가는 길이다. 비봉산은 예전에 대봉산이었다. 옛날 대봉산(大鳳山)이라 불렸다. 조선 건국 무렵 이성계를 도운 무학대사가 뛰어난 인물이 많이 나는 대봉산 정기를 끊기 위해 산에 있는 큰 바위를 깨자 봉황이 날아갔다고 한다. 이후 대봉산은 비봉산으로 바뀌었다. 봉황의 전설이 깃든 비봉산 동편에 자리 잡은 의곡사는 봉황이 알을 품는 명당자리라 한다. 의곡사라는 절 이름도 조선이 임진왜란이라 불렀던 <동북아 국제전쟁> 때 승병을 양성하고 왜적과 맞서 싸웠던 까닭에 근정사에서 ‘의로운 골짜기에 있는 사찰’이라는 뜻에서 의곡사(義谷寺)로 바뀌었단다.

 

‘비봉산 의곡사’란 편액은 민족대표 33인 중 한 분으로 끝까지 지조를 잃지 않은 오세창 선생이 쓴 것이라고 하는데 지금의 현판은 다른 이의 글씨다. 일주문을 지나 사천왕문 오른편에 산기슭에 ‘父母生天目連經 南無阿彌陀佛 塔(부모생천목연경 나무아미타불 탑)’이란 한자(漢字)와 ‘부묘쳔목연경’이란 한글이 함께 새겨진 작은 비석이 정겹게 서 있다. 목련경은 아들 대목건련(나복)이 아비지옥에 빠진 어머니 청제부인을 부처님께 공양하여 건져낸 일을 기록한 불경으로서, 음력 7월 보름 백중날이면 이 경전을 읽고 기념한다고 한다.

 

대웅전을 새로 짓는 공사 중이었고 임시 법당에서는 법문이 한창이었다. 조용히 귀 기울여 들었다. “여기 의곡사에서 기도한다고 집안일에 소홀하지 말라”는 당부의 말씀. 기도라는 성스러운 일을 한다고 다른 일을 소홀히 하지 말라는 말씀에 커피 한 모금 들이키니 달짝지근하다.

 

 

 

                                     오솔길 사이로 진주 도심이 보인다.

  

의곡사에서 숨을 고른 뒤 다시 절을 나왔다. 산으로 가는 여러 길이 있다. 가장 빨리 산 정상으로 올라가는 길을 버렸다. 사람 사는 동네 골목을 헤집고 다녔다. 시멘트 좁은 길을 몸이 불편한 어르신 한 분이 지팡이에 의지한 채 잘 지나가신다. 막다른 길은 없었다. 모두가 산으로 갈 수 있었다. 차가운 시멘트 바닥을 뚫고 보랏빛 향기처럼 옹기종기 모인 봄까지꽃이 낯선 길을 찾아든 나를 반겼다. 골목길 사이로 진주 도심이 보인다. 불과 20여 분 거리에 이렇게 한적한 곳이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았다. 골목길을 지나 좀 더 위로 올라가자 오솔길이다. 넉넉한 비봉산이 품은 길을 알지 못했다. 그저 산 정상으로만 올라가는 길만 알았을 뿐이다.

 

<봉래동 느티나무>로 올라가는 길은 굽이 굽이 우리 인생길을 닮았다.

 

길옆으로는 부지런한 시민들이 만든 밭들이 나를 호위하듯 펼쳐 있다. 매화나무 아래는 고추 모종을 심는 할아버지. “익어도 좋고, 안 익어도 맛있는 고추”라는 어르신의 재치 어린 말에 한바탕 웃었다. 고추 모종을 심는 어르신을 뒤로하고 다시 10분여. 300여 년의 당산나무 <봉래동 느티나무>가 시원하게 서 있다. <봉래동 느티나무>를 홀아비 느티나무라고 부른다. 원래는 두 그루였는데 한 그루가 죽고 없어지면서 홀아비가 되었단다. 느티나무는 비봉산과 선학산 그리고 시 외곽 하촌동으로 나뉘는 삼거리에 서 있다. 시 외곽에 사는 시민들이 도심으로 오다 여기 느티나무 아래에서 나처럼 땀을 훔치며 잠시 걸음을 쉬어 갔을 것이다.

 

  <봉래동 느티나무>

 

<봉래동 느티나무>에서 비봉산 정상은 0.5km, 의곡사는 0.3km, 말티고개 봉황교는 2.5km다. 비봉산 정상이 아니라 봉황교로 발걸음을 옮겼다. 시멘트로 포장된 산복도로는 원래가 농로로 개설되었다. 덕분에 비봉산 속살을 구경할 수 있다. 포장길 아래로 흙길이 있다. 능선 주위에는 곳곳에는 느티나무가 시원한 그늘을 드리워 걸음을 붙잡는다.

산 능선에서 만난 <소망의 돌>.

 

<봉래동 느티나무>를 지나 두번째 느티나무를 만났을 때 지압보도와 함께 <소망의 돌>이 보인다. 양손이 음각된 바위에 손을 가만히 데었다. 눈도 지그시 감았다. 무덤 봉분 위로 제비꽃 무리가 한들한들 바람에 짙은 보랏빛 춤을 춘다. 보랏빛 제비꽃 무리 사이로 발걸음을 옮겼다. 폭신폭신한 흙이 내 몸무게만큼 살짝 들어갔다. 옥봉동 가야고분이 보이고 그 너머로 진주성과 남강이 보인다. 3번째 느티나무 그늘에서 쉬었다. 근처 야외 헬스 기구에 열심히 운동하는 어르신들 사이로 진주 시내가 내려다보인다.

 

‘봄바람 휘날리며 흩날리는 벚꽃 잎이 울려 퍼질 이 거리를 ( UhUh ) 둘이 걸어요’라는 노래 <벚꽃엔딩>이 절로 흥얼거리게 한다. 뾰족한 가시 사이로 하얀 꽃이 그만인 탱자나무가 서 있기 때문이다. 둘레길 사이사이로 농작물을 보호하려는 농부들이 울타리로 심은 까닭에 탱자나무가 자주 보인다. 오래전부터 심은 탱자나무 울타리는 도둑을 막겠다는 의미보다는 가시가 귀신을 쫒는다는 주술적인 의미로 더 많이 심었다고 한다. 지금은 둘레길을 걷는 시민들로부터 농작물을 보호하기 위해 어른 키보다 더 높게 심어져 있다.

 

비봉산과 선학산을 잇는 봉황교

 

드디어 봉황교에 이르렀다. 봉황의 왼쪽 날개에 해당하는 말티고개에 큰길을 내고 난 뒤부터 고려 시대와 조선 초에 융성했던 인재가 줄었다는 전설이 있다. 말티고개 도로개통으로 꺾였던 봉황의 왼쪽 날개가 다시 이어져 봉황이 힘차게 날갯짓을 할 수 있듯 모두가 비상(飛上)하는 기운을 받을 수 있을 듯하다. 봉황교는 길이 56m, 폭 3m 규모로 지상 12m 높이로 봉황의 날갯짓을 형상화했다. 일일 교통량이 4~5만 대에 달하는 말티고개의 여건을 고려 교량 중간에 교각이 없는 구조다. 봉황교 개통으로 4.5km의 등산로는 물론이고 남강둔치 산책로를 포함 10km의 시 순환 둘레길이 완성된 셈이다. 봉황교 근처는 작은 공원이 꾸며져 있다. 봉황교 아래로 굽이치는 물줄기처럼 아스팔트 길이 놓여있고 지나가는 차들이 물고기인 양 유유히 지나간다. 길 따라 시내로 가면 진주 강씨의 시조인 고구려 병마도원수 강이식 장군을 모신 봉산사가 있다.

 

 

숲을 걷는 사람들은 혼자가 아니다. 저마다 좋아하는 음악을 길동무 삼는다.

 

봉황교를 지나자 햇살이 잘 보이지 않는 숲 한가운데다. 산속을 걷는 사람들은 혼자가 아니다. 나이 지긋한 어르신들은 “내 나이가 어때서”라는 신 나는 트롯트 음악을 길동무 삼는다. 40~50대 중년들은 ‘사랑은 저만치 간다’는 포크송을 들으며 걷는다. 젊은 사람은 노래 소리를 훔쳐 들을 수 없다. 아예 귀에 이어폰을 꽂고 걸어서 어떤 노래인지 알 수 없다. 숲 한가운데에서 고개를 들었다. 봄 햇살이 나뭇잎에 어려있다. 초록 물감을 손에 묻힌 듯 내 손과 마음도 초록이다.

선학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진주 시내 전경

 

선학산 전망대를 얼마 남겨 놓지 않고, ‘오리나무’가 보인다. 꽥꽥거리는 오리와는 전혀 다른 오리나무는 오리(五里)마다 이 나무를 심어놓고 이정표로 삼았다고 한다. 선학산 전망대에 올랐다. 남강과 진주성은 물론이고 진주 시내 전경이 다 들어온다. 진주 시내 구경을 마치고 동방호텔 쪽으로 내려왔다. 활터였던 람덕정 앞에 겹벛꽃이 활짝 피었다. 하얀색과 분홍색의 겹벚꽃은 마치 꽃 떡처럼 맛나게 피었다.

 

등산로는 산길 위치에 따라 저너머 풍경이 다르다.

 

의곡사를 거쳐 선학산 전망대까지 보통은 2시간이며 충분히 올 거리를 나는 4시간 가까이 걸었다. 걸어오는 산길 위치에 따라 저너머 풍경이 다르고 진주의 속살을 훔쳐보는 재미도 쏠쏠했다. 산 능선 주요 길목마다 시원한 그늘을 드리운 정자나무 아래에서 바라보는 진주의 풍광은 저마다 달라 걸음을 재촉할 수 없었다. 명품 시계는 없다. 보석처럼 빛나는 진주의 진주(珍珠)를 가졌다.

 

 

※ 등산로 코스

 

○비봉산 왕복코스(7.4km, 1시간 50분 소요)

   : 봉산사-비봉산 정상-봉황교(말티고개)-비봉산 정상-봉산사

○선학산 왕복코스(5.2km,1시간30분)

   : 상대배수장-선학산전망대-봉황교(말티고개)-선학산전망대-상대배수장

○종주코스(6.3km,1시간40분)

  : 봉산사-비봉산정상-봉황교(말티고개)-선학산전망대-상대배수장

 

728x90